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영국에서 회의를 가졌다. 이미 지난 6월 역시 영국의 콘월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는 G7이 또 다시 모였다는 것은 예사로운 일은 아니다. 긴급한 의제가 없는 이상 G7 정상회의와 외교장관 회의가 한 해에 같이 열리는 경우는 흔한 일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G7의 긴급한 의제일까? 역시 중국과 러시아 문제가 주요 의제였을 것이라고 본다.
또 한가지 주목할 점은 G7이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와 유럽연합(EU) 간 협의체이나, 이번 회담에서는 한국,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아세안 등이 초청됐다는 점이다.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나오지 않고 있으나 가장 먼저 의제로 올랐을만한 사항은 내년 베이징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문제였을 것이다. 그런데 이미 우리나라는 내년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외교적 보이콧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대형 해외 행사이기도 하려니와 3월의 대선을 목전에 두고 우리나라는 남북 간의 정상회담, 적어도 정전선언을 관철해 내려 외교력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일이 성사되게 된다면 외교적 고립을 자초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번 G7 외교장관 회담에서 정의용 외교장관이 어떠한 활약을 펼쳤을지는 모르나 결코 쉽지 않은 여정이었을 것이다. 그나마 우리나라에 호의적일 수 있는 나라는 아세안 정도였을 것이나 아세안조차도 각 나라별로 입장을 정리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필리핀과 베트남은 각각 친중과 반중으로 입장이 갈릴 것이다. 그러나 베이징 올림픽이 동계 올림픽이라는 점에서 어차피 아세안 국가들이 대규모 선수단을 보낼 일이 없는 만큼 외교적 보이콧에 큰 목소리를 내진 않을 것이다. 나머지 국가, 인도, 호주, 남아공 등은 당연히 외교적 보이콧에 가담하면서 중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미국의 ‘친구 아니면 적’이라는 이분법을 2001년 9/11 직후 목도했던 적이 있다. 물론 그때만큼은 아니더라도 미중 갈등은 결국 세계의 나라들을 줄세우기 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꼭 베이징 올림픽에서 정전선언을 해야 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
또 하나의 의제는 러시아의 문제였을 것이다. 러시아는 지금 우크라이나를 잔뜩 벼르고 있다. 나토(NATO)의 동진을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러시아로서는 자신들의 영토 바로 옆에서의 나토의 군사활동을 절대 좌시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으로 가는 관문일 뿐 아니라 흑해로 통하는 길목이기도 하다. 동토의 나라 러시아가 흑해마저 위협 받는다면 이 역시 러시아로서는 심각한 사안일 수밖에 없다. 러시아가 가장 추운 기간인 1-2월을 군사행동의 시기로 잡고 있는 것은 탱크, 장갑차, 자주포 등 중화기 및 보급수단이 진흙에 고민하지 않고 언 땅을 바로 가겠다는 것인 만큼 그 시기 또한 절묘하다. 그러나 만약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시작된다면 전 세계는 심각한 경제적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그 중 특히 유럽의 타격을 이루 말할 수 없이 클 수밖에 없다. 당장 가스부족으로 혹독한 겨울을 날 것이 자명하고 물류의 운송 지연으로 또 한번 지난 코로나19 팬데믹의 시작 때와 같은 생필품 대란이 일어날 여지가 충분하다. 그 밖에도 국제유가가는 폭등할 것이고 며찰 만에 긑이 날 전쟁도 아니기 때문에 내년 한 해 세계경제는 주가로부터 유가까지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 G7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기정사실화 하며 그 대책을 논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럽을 지원할 수 있는 남아공과 인도가 이번 회담에 초청 되었음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역시 다시 중국 문제이다. 특히 올림픽 이외의 정치, 경제적 압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대만과의 갈등, 쿼드, 파이브 아이즈, 오커스 등의 결속을 더욱 다지는 자리가 되었을 것이다. 어쩌면 이들은 중국에 대한 봉쇄를 강화하면서 새로운 국제경제레짐을 도모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정치, 군사적 블록은 형성된 만큼 곧 바로 다음 행동은 미국 주도의 국제경제레짐일 것이다.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메이저 국가들의 외교적 보이콧은 이미 정해진 것과 같은 분위기고 중국은 올 해 도쿄 올림픽처럼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충격을 최소화 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결국은 나토가 풀어내야 할 숙제이다.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최대한 지연하면서 해결책을 모색해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국제경제레짐은 언제든 가능한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아마도 이번 G7 외교장관 회담에서 우리나라는 아주 곤혹스러운 자리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지금 시기적으로 보나 정치적, 경제적 상황으로 보나 우리나라 정부가 하고 싶은 일이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외교는 고집을 부리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부작용은 곧 바로 경제로 직결되기 마련이다.
임성훈 기자 shyim9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