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그인 검색

중국이 석탄 사용 관행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

최유정 기자

기사입력 : 2021-08-10 00:45

사진=ejinsight이미지 확대보기
사진=ejinsight
중국은 전 세계에서 화석연료 의존도가 제일 높은 국가이다. 중국 정부는 2060년까지 탈탄소화 계획을 밝혔지만, 여전히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중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중국은 세계 화석연료의 53%를 생산하는 동시에 태양 전지판, 풍력 터빈, 전기자동차 개발 및 제조를 위한 기회의 장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를 안고 있다.

중국 지도자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경제 성장을 이뤄야 한다는 정책 우선주의 정책을 추구해왔다. 이는 곧 시진핑 주석 집권 후 탈탄소에 대한 압박으로 변했다. 중국 정부는 빠른 속도로 ‘오염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환경 정책에 1조 달러 이상을 투자해 대기, 물, 토양의 질을 개선해나가기 시작했다. 화력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재생에너지 개발에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에너지 전환을 통해 전기자동차 제조 및 판매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전국적인 탄소 거래제를 입안해 내기도 했다.

그러나 2014년에서 2016년까지 매년 감소하던 석탄 소비량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는 최근 36.9GW의 화력 발전소 추가 건설을 승인하는 등 다시 탄소 배출량 선두를 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홍콩 시위, 미국과의 무역전쟁 그리고 팬데믹을 탄소 소비량 증가의 주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중국의 GDP 성장률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했기 때문에, 정부는 철강, 철, 시멘트 등의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미중 무역전쟁으로 석유 수요의 70%, 가스 수요의 40%를 수입한다는 점에서 에너지 안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아무리 중국 정부가 재생 에너지 전력 개발에 박차를 가해도 빠르게 상용화되기 어려운 것이 이 때문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행보는 자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 수출 및 수입국의 탄소 배출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는 경제개발을 위해 화석연료를 적극 도입하고 있어 유럽 및 북미 국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탈탄소화 정책은 전 세계 기후 변화를 좌지우지 할 만큼 영향력이 크다.

유럽 및 북미 국가들은 중국의 환경 정책에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개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 중국이 화석연료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줄이기에는 많은 부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유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hjw25@g-enews.com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