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그인 검색

[전망 2021-R&D] 코로나19·미중 무역갈등, R&D 전략 중요 변수

노정용 기자

기사입력 : 2021-01-06 13:22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자료=글로벌이코노믹
2021년은 국내 정부와 산업계에 있어 사업전략과 연구개발(R&D) 전략 수립에 있어 힘겨운 한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을 관통한 ‘코로나-19' 가 2021년 초‧중반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V 자형”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와 우려와는 별개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응한 사업전략과 연구개발 전략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20년 연말의 미대선 결과와 그에 따른 미중 무역갈등의 확산 여부도 향후 세계 경제에 중요한 변수로 부상할 것이며, 한국도 2022년 초 대선을 앞둔 마지막 해로서 변환점의 한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한 논의와 무역분쟁의 결과로 강화되는 기술보호 등 보호무역 강화 움직임은 원천기술이 취약하고 수출기반으로 성장해온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유지나 기업 생존을 위한 도전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공급망 재구축과 함께 기술 자립을 위한 대응전략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2021년 정부 예산안에 편성된 정부 R&D 예산안은 총 27조2000억 원으로, 이는 추경 예산을 포함한 2020년 정부 R&D 예산 규모인 24조5000억 원 대비 11.2% 증가한 규모다. 특히 코로나19로 촉발된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크게 증액됐고, 데이터 관련 일자리 창출과 비대면 산업 등‘디지털 뉴딜'과 녹색 인프라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그린뉴딜'을 지원하는 예산 역시 1조920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며,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경제 재건 계획인 한국형 뉴딜 실현을 지원하는 연구개발도 강화됐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소부장 관련 연구개발 지원도 더욱 확대됐고, 미래선도형 신산업 육성을 통해 혁신성장을 견인하도록 시스템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 바이오헬스 등 3대 중점분야에 투자역량을 집중했으며, 성공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거나 과학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형 R&D 신규사업에도 예산을 적극 반영했으며, 국민 생활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미세먼지·폐플라스틱 등 사회현안에 적극 대응하여 국민이 R&D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해결형 사업 예산도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