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그인 검색

탄소 중립성에 대한 경로 차트 작성

김지나 기자

기사입력 : 2021-07-13 07:44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픽사베이
현재 전세계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나라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거나 흡수하거나 감소시켜 경제가 탄소 중립이 되도록 순제로 의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같은 나라에는 중국, 일본, 한국 및 유럽 연합 등이 있다. 다양한 기업들 역시 탄소 배출 순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 중에 있고, 민간이든 공공이든 많은 투자자들이 탄소 관련 자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인도네시아 역시 이같은 추세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2015년 파리 기후협약에 서명한 인도네시아는 2030년까지 평상시와 비교해 탄소배출량을 29% 감축하고, 충분한 국제적 지원을 통해 최대 41%까지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인도네시아의 1인당 배출량은 호주 16.8톤과 일본 9.3톤에 비해 2톤이 조금 넘는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인도네시아는 전체의 2%를 약간 웃도는 세계 8위의 배출국이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일이 상당한 도전이다. 인구는 증가하고 있고, 이에 부응하기 위해 성장해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도네시아의 독특한 상황이 이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먼저 인도네시아는 석탄을 통해 경제개발목표에 필수적인 저비용의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저탄소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가장 큰 걸림목이 된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는 재생 에너지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석탄 용량을 늘리고 있다.

둘째, 인도네시아 온실가스 배출량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삼림벌채다. 이를 보존하기 위한 장려책이 시행될 수도 있다.

셋째, 농업부문은 소규모 농부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변화를 시행하기 어렵다. 농작물 소각과 같은 전통적 관행도 계속되고 있고, 수확량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의 전환도 어려울 수 있다.

결국 인도네시아가 탈탄화 과정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만들어내고자 한다면 국가는 물론 기업과 투자자, 개인 모두 이 과정에 참여해야만 한다.


김지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inakim@g-enews.com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